2025년 4월 26일(토) "실수와 고의에 대한 공의로운 규례"
민수기 15:22~31
15:22 “‘만약 너희가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주신 이 명령들을 실수로 지키지 못한 일이 있다면
15:23 만약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날부터 너희 대대로 후세에게 이르기까지 여호와께서 모세를 통해 너희에게 명령하신 것들 가운데 하나라도 지키지 못한 일이 있다면
15:24 만약 회중이 알지 못하는 가운데 이런 일이 일어났다면 온 회중은 법도를 따라 수송아지 하나를 번제로 여호와께서 즐겨하시는 향기가 되게 드려야 하며 또한 곡식제물과 전제물을 드려야 하며 어린 숫염소 하나를 속죄제물로 드려야 한다.
15:25 제사장이 온 이스라엘 회중을 위해 속죄하면 그들이 용서받을 것이다. 이는 그들이 자신들이 실수로 한 일에 대해 예물을 여호와께 화제로 드리고 또한 속죄제물을 여호와 앞에 드렸기 때문이다.
15:26 모든 백성이 실수로 한 것이므로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과 그 가운데 사는 이방 사람들도 용서받게 될 것이다.
15:27 그러나 만약 한 사람이 실수로 죄를 지었을 경우에는 그 사람은 1년 된 암염소를 속죄제물로 드려야 한다.
15:28 제사장이 실수로 죄를 짓게 된 그 사람의 죄를 속죄해 주면 그는 용서받게 될 것이다.
15:29 이스라엘 자손인 본토 사람이든지 이방 사람이든지 상관없이 실수로 죄를 지은 사람에게는 모두 한 가지 율법이 적용된다.
15:30 그러나 이스라엘 사람이든 이방 사람이든 고의적으로 죄를 짓는 사람은 여호와를 모독하는 것이니 그런 사람은 그 백성들 가운데서 끊어져야 할 것이다.
15:31 그는 여호와의 말씀을 업신여기고 그의 명령을 어겼으니 그런 사람은 반드시 끊어져야 한다. 그 죄가 그에게 있을 것이다.’”
오늘 본문 민수기 15장 22절부터 31절은 의도적이지 않은 죄(실수로 지은 죄) 와 고의적으로 지은 죄에 대한
하나님의 판단 기준과 그에 따른 회개, 제사, 책임의 차이를 분명히 말씀하시는 장면입니다.
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죄에 대한 하나님의 기준, 회개의 중요성,
그리고 의도적인 죄의 심각성에 대해 깊이 묵상할 수 있습니다.
✝️ 묵상 제목 “하나님은 마음의 태도를 보신다”
(민수기 15:22–31)
📖 본문 요약
- 이스라엘 공동체가 실수로 하나님의 계명을 어겼을 경우,
제사를 통해 죄 사함을 받을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심 (22–26절) - 개인이 실수로 죄를 범한 경우에도 속죄제를 드리면 사함을 얻을 수 있음 (27–29절)
- 그러나 고의로, 의도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는 자는
하나님을 멸시한 것으로 간주되어 공동체에서 끊어질 것이라고 하심 (30–31절)
✨ 묵상할 내용
✅ 1. 하나님은 실수보다 마음의 태도를 더 중요하게 보신다
실수로 인한 죄는 누구나 범할 수 있습니다.
하나님은 그 죄에 대해 회개하고 속죄하는 길을 열어주셨습니다.
하지만 고의적이고 뻔뻔한 죄,
즉 하나님의 말씀을 일부러 무시하고 멸시하는 죄에 대해서는
단호하게 심판하시겠다고 말씀하십니다.
💭 묵상:
나는 내가 지은 죄를 가볍게 여기거나,
의도적인 태도로 죄를 반복하고 있지는 않은가?
✅ 2. 진짜 회개는 ‘잘못을 인정하고 고치려는 태도’ 입니다
단순한 “미안합니다”가 아니라,
죄를 깨닫고 하나님 앞에 돌이키려는 자세가 회개의 핵심입니다.
하나님은 회개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시며,
그 기회를 통해 우리와의 관계를 회복하길 원하십니다.
💭 묵상:
나는 죄를 지었을 때,
변명보다 먼저 하나님께 진심으로 엎드리는 사람인가?
✅ 3. 죄는 공동체 전체에 영향을 줍니다
본문은 개인의 죄뿐 아니라, 공동체 전체가 실수했을 경우에도 속죄 제사를 드리라고 명합니다.
이는 죄는 나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, 공동체에도 영향을 주며,
우리가 함께 책임지고 회개해야 함을 보여줍니다.
💭 묵상:
나는 공동체(가정, 교회, 직장)의 연약함에 대해 함께 회개하고 기도하고 있는가?
나는 가끔 "실수를 가장한 고의로" 가족들에게 상처주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.
사실 우리 모두가 그렇게 할 때가 있습니다.
분노나 지침, 상처, 억울함이 쌓이면
‘실수인 척’ 하면서 마음 깊은 곳의 고의성을 담아 말을 하기도 하죠.
하지만 가족에게는, 그 말이 생각보다 훨씬 깊고 오래 남는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.
✨ 가족에게는 “실수로라도” 상처 주는 말을 해선 안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:
✅ 1. 가족은 가장 가까운 관계이기에, 가장 쉽게 다치고 오래 기억됩니다.
- 친구나 동료가 아닌, 가족의 말은 마음 깊숙이 파고들어 오래 남습니다.
- “그냥 한 말이야”라고 해도, 가족은 그 말 속에서 내 진심을 찾으려 하기 때문입니다.
✅ 2. 하나님은 고의와 중심을 아시는 분이십니다.
- 민수기 15장에서 본 것처럼, 하나님은 실수한 죄와 고의로 한 죄를 구분하시며,
고의적인 마음에는 더 무겁게 책임을 묻는 분입니다.
🙏 가족에게는 오히려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로 대해야 할 자리입니다.
우리가 받은 하나님의 은혜를 가장 먼저 가족에게 흘려보내는 것이
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모습입니다.
💭 제가 드리고 싶은 생각은 이것입니다
가족이기 때문에 때때로 방심하고,
더 쉽게 상처 주는 말이 나올 수 있습니다.
하지만 가족이기 때문에 그 말의 무게는 더 크고 오래 가기 때문에,
의도적이든 실수든, 상처가 되었다면 그 말은 반드시 책임지고 회복해야 하는 말입니다.
🪧 오늘 내가 적용하고 실천할 것
✔️ 1. ‘의도적’으로 반복하는 습관적 죄가 있다면 끊기
- 나 자신도 알고 있는 반복적인 죄,
“괜찮겠지”라고 여기는 죄가 있다면
오늘부터 하나님 앞에 진심으로 회개하고 행동으로 끊기
✔️ 2. 죄를 지었을 때 변명보다 먼저 기도하기
- “내가 왜 이렇게 행동했는지”를 합리화하려 하지 말고,
하나님의 기준 앞에 솔직히 인정하고 나아가기
✔️ 3. 공동체를 위한 중보 회개 기도하기
- 나의 가정, 교회, 나라를 위한
공동체적인 회개의 기도를 주 1회 이상 실천해보기
✔️ 4. 가족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한 후에는, “변명 없이” 사과하기
- "미안해, 그건 실수였어" 대신
👉 “그 말은 내가 잘못했어. 정말 상처였을 거야. 진심으로 미안해.”
라고 인정하고 마음을 낮추기.
✔️ 5. 말하기 전, 기도하고 침묵하는 연습
- 감정이 올라올 때 “이 말은 하나님께 드려도 부끄럽지 않을까?”라고 스스로 묻기
✔️ 6. 한 주에 한 번, 가족에게 감사와 축복의 말 건네기
- 사소한 칭찬이나 따뜻한 한마디가 상처를 치유하는 놀라운 통로가 됩니다.
🙏 묵상 기도문
하나님,
저는 때때로 죄를 지으면서도
그것이 ‘실수’였다고, ‘어쩔 수 없었다’고
합리화하며 가볍게 넘기려 했던 모습을 고백합니다.
주님은 마음의 중심과 태도를 보시는 분이심을 기억하며,
진심으로 회개하고 돌이키는 믿음의 사람이 되게 하소서.
제가 고의적이고 반복적인 죄에서 벗어나
말씀대로 살아가게 하시고,
제 삶 전체가 하나님을 경외하는 삶이 되게 하소서.
주님,
제 입술을 정결하게 하시고,
가족에게는 무엇보다 긍휼과 사랑의 언어를 사용하게 하소서.
저의 말이 가정의 공기를 맑게 하고,
주님의 마음을 전하는 도구가 되게 하소서.
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.
아멘.
이 본문은 단순한 율법 규정이 아니라,
하나님의 용서, 회복, 그리고 죄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알려주는 귀한 말씀입니다.
하나님은 중심을 보시는 분이시기에,
이 진심을 절대 외면하지 않으십니다.
오늘도 하나님의 긍휼을 진심으로 붙드는 회개의 하루 되시길 축복합니다.
'생명의 삶 Q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란치스코 교황 선종, '콘클라베'로 본 차기 교황 선출 전망 (0) | 2025.04.28 |
---|---|
2025년 4월 27일(일) " 말씀을 기억하고 지켜 행하는 거룩한 삶 " (0) | 2025.04.27 |
2025년 4월 25일(금) "약속의 땅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예배 공동체" (0) | 2025.04.24 |
2025년 4월 24일(목) "뒤늦은 후회와 무모한 행동의 결말" (0) | 2025.04.24 |
2025년 4월 23일(수) "하나님 귀에 들린대로 시행 되는 일" (0) | 2025.04.23 |